분류 전체보기(52)
-
블루투스 스위치 달기
지금 사용 중인 블루투스 앰프(XY-S100H)는 AUX 입력단자에 3.5mm 플러그가 꽂히면 블루투스가 꺼진다.주로 AUX 입력을 사용하지만, 가끔 블루투스도 쓴다.블루투스를 쓰려면 후면에 꽂힌 3.5mm 플러그를 뽑아야 하는데, 매우 귀찮다. 3.5mm 플러그로 블루투스가 켜지거나 꺼지는 원리는 AUX 입력단자를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다.AUX 입력단자는 3극용이지만 기판과 연결되는 발은 4개다.4번 발은 AUX 입력을 확인하는 단자다.3번 발 옆에 있지만, 플러그와 닿는 부분은 1번 발 옆이다.4번 발이 플러그와 연결되는 것을 막고 3.5mm 플러그를 꽂으면 AUX 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블루투스가 작동한다.이렇게 작동하는 이유는 3.5mm 플러그가 꽂혔을 때 Ground극에 의해 4번과 1번..
2024.11.20 -
네이버 뉴스 자동 저장 프로그램 소스 코드 분석
이번 글에서는 핵마피아 꼼짝마 프로젝트를 위해 만든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분석합니다.[네이버 뉴스 자동 저장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은 이전 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각 단계별 동작 요약- 일괄 검색 : OR 연산자를 사용하여 검색어 1개라도 포함된 기사를 모두 검색- 개별 검색 : 검색어를 1개씩 나눠서 기사를 검색하여 기사에 포함된 검색어를 확인- 검색 결과 병합 : 개별 검색에서 확인한 기사에 포함된 검색어를 일괄 검색 결과에 추가- 형태소 분석 : 기사 제목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많이 사용된 단어를 확인- 엑셀 저장 : 검색 결과와 형태소 분석 결과를 엑셀 파일에 저장- 올리기 : 엑셀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에 올림 개발 환경프로그램 개발 언어는 파이썬을 사용했습니다.파이썬 개발 환경은 윈도우10에..
2024.11.19 -
선풍기의 조작 다이얼 만들기
20년 즈음 사용한 선풍기의 조작 다이얼이 부러져서 3D 프린터로 출력해서 교체했다. 다이얼과 회전축이 연결되는 부위가 완전히 부러져서 조작판의 회전축이 안 돌아간다.다이얼이 안 돌아간 다고 선풍기를 버릴 순 없다.3D 프린터로 다이얼을 만들자. 설계에 필요한 모든 크기를 잰다.FreeCAD로 설계한다.3D 프린터로 출력한 다이얼의 하부 서포트를 제거하고 네임펜으로 방향을 표시한다.다이얼을 새것으로 교체한다. 지난여름, 쉬지 않고 돌았던 선풍기가 이젠 겨울잠에 들었다.잠들기 전에 깔끔히 씻기기는 필수.선풍기야 내년 여름엔 너의 일을 덜어줄 친구가 생길 거야.잘 쉬고 내년에 보자. 에어컨을 쓰기로 했다.인류의 무지막지한 화석연료 사용으로 대기 중 온실 가스는 한계를 모르고 늘어만 간다.그 결과 지구의 대..
2024.11.18 -
네이버 뉴스 자동 저장 프로그램
프로젝트에 사용하려고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를 엑셀 문서로 저장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프로젝트는 부산에너지정의행동에서 기획하고 아름다운재단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사업입니다.사업 기간은 2021년 4월에서 11월까지로 7개월간 진행되었습니다.프로젝트의 목표는 보수언론에서 생산하는 탈핵에 관한 왜곡된 정보를 바로잡고, 탈핵 진영의 적극적인 언론 활동을 통해 편향된 정보의 균형을 맞추는 것입니다.저는 이 프로젝트에서 언론 모니터단으로 활동했습니다.모니터단은 핵발전과 탈핵에 관한 언론 보도에서 가짜뉴스를 가려내는 것이 주요 임무입니다. 언론 보도 모니터링의 범위는 ‘네이버 뉴스’에서 검색어 5개(원전, 원자력, 탈원전, 방사능, 사용후핵연료) 중 1개라도 포함된 기사로 한정했습니다.모니터링 보고서는 ..
2024.11.17 -
'책상과 벽 사이' 쐐기 만들기
창문에 맞닿아 있는 책상이 블라인드를 끝까지 내려오지 못하게 막고 있다.블라인드가 내려올 수 있을 만큼 책상을 벽에서 떨어지게 했지만, 책상이 가벼워 쉽게 밀린다.웬만큼 강한 힘이 아니면 쉽게 밀리지 않게 만들 필요가 있다.나에겐 고속 3D 프린터가 있다.쐐기를 빠르게 설계해서 출력해 보자. 책상의 양쪽 철제 다리와 벽 사이 거리는 다르다.가까운 쪽은 47mm이고 먼 쪽은 73mm이다.그리고 다리의 폭은 40mm이다.쐐기가 책상의 철제 다리에 딱 붙을 수 있게 자석을 사용하기로 한다.자석의 크기는 버니어 캘리퍼스로 잰다.FreeCAD로 빠르게 설계한다.3D 프린터로 출력한다. 잘못 출력된 부분을 손질하고 자석과 폼패드를 조립한다. 자석을 조립하면서 설계에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자석의 높이를 크게 입..
2024.11.16 -
2색으로 반려견 이름표 출력
3번째 3D 프린터를 샀다.이번 건 비싸고 성능이 좋은 Bambu P1S다.Creality의 보급형 Ender-3 시리즈만 2대 사용하다가 고속으로 여러 색을 출력할 수 있는 3D 프린터를 샀다. 받은 날 2색으로 우리 집 '발'의 목에 달아줄 이름표를 출력했다.이름표를 FreeCAD로 직접 설계했다.첫 출력물에 문제가 있어 재출력까지 했지만, 크기가 커서 '발'에게 달아주지는 못 할 것 같다. 사진의 왼쪽 이름표가 처음 출력한 거고 오른쪽이 재출력한 거다.기본 설정을 그대로 사용한 첫 출력은 첫 레이어의 선폭이 0.5mm로 되어 있어 선폭이 가는 글자가 제대로 출력되지 못했다.선폭을 0.4mm로 설정하고 다시 출력하니 괜찮게 나왔다.0.2mm 노즐이 있으면 더욱 세밀하고 예쁜게 출력할 수 있지만, 지금..
2024.11.15 -
개인 온라인 저장소 만들기
구글 드라이브와 비슷한 개인 온라인 저장소를 직접 만들었습니다. 사진과 동영상을 무제한으로 저장할 수 있던 구글 포토가 2021년 6월1일부터 그럴 수 없게 되었습니다.사진, 동영상, 파일 등을 공짜로 제공하는 15GB 내에서만 저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많은 사진과 큰 용량의 동영상을 백업하거나 공유할 일이 많은 저에겐 15GB는 턱없이 부족한 용량입니다. 인터넷에서 라즈베리 파이로 개인 온라인 저장소를 만든 사례를 본 적이 있어 검색해 보니, 소프트웨어 설치만으로 쉽게 구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ownCloud, Seafile, OpenMediaVault, NextCloud 등)라즈베리 파이에 USB 외장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저장 용량을 늘리는 것도 가능했습니다.남는 128G..
2024.11.14 -
태양 추적기 형태 구상 - 첫번째
태양광 전지의 발전량을 최대로 높이려면 전지판이 태양을 따라 움직여야 한다.태양의 위치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영향을 받는다.지구의 자전은 태양을 동에서 서로 1분에 0.25° 이동시킨다.지구의 자전축은 공전축에 23.5° 기울어 있다.지구의 공전으로 태양 남중 고도는 한 해 동안 -23.5° ~ +23.5° 가 변한다.내가 사는 곳(위도 35.55°)은 30.95° ~ 77.95°로 변한다.대충 하루에 0.129°로 변한다. 전지판에 대한 태양빛의 입사각이 8°가 넘으면 발전량이 1% 이상 낮아진다.(참고 자료)손실을 1% 이하로 줄이려면 지구 자전에 의한 태양 이동은 62분 내에 따라가야 한다.하지만 지구 공전에 의한 이동은 평균 124일 내에 따라가면 된다. 어떤 기계든 구조가 단순할수록 고장이 덜..
2024.11.13 -
최대한 단순한 구조의 태양 추척기를 만들려면?
휴대폰 같은 작은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태양 전지판이 2장 있다.한 장의 크기는 54Cm x 28Cm이고 최대 출력은 40W이다.USB 단자가 2개 있는 캠핑용으로 나온 제품이다.이걸 집에 설치해서 쓸 건데, 발전 효율을 최대로 끌어올리고 싶다. 태양 전지는 빛을 많이 받으면 발전이 많이 되는 단순한 발전기다.전지판과 태양 광선이 수직이 되도록(입사각 0˚)하면 태양빛을 최대한 많이 받아서 발전이 많이 되다.태양은 움직인다. 정확히는 지구가 자전을 하기 때문에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태양이 뜨고 질 때까지 입사각이 0˚이 되려면 전지판을 움직여서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해야 한다. 지구의 자전 말고 신경 써야 할 게 또 있다.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다.지구는 태양계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공..
2024.11.12 -
SONY DSC-RX10M2 렌즈 수리
최소 10만 원이 드는 카메라 렌즈 수리를 접착제 구입비 7,240원에 자가 수리했습니다. 2015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SONY DSC-RX10M2의 대물렌즈 안쪽에 곰팡이가 폈습니다.소니 센터에 수리를 의뢰하니 렌즈 교체만 가능하며 렌즈 전체 교체비가 13만 원이었습니다.당장 사진을 찍지 못할 상태가 아니어서 수리를 받지 않고 다른 방법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구글 검색 결과, 해외 유튜브 영상과 국내 블로그 글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국내 블로그 글을 보고 접합 렌즈 사이에 곰팡이가 핀다는 것과 그것을 제거하려면 접합 렌즈를 분리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흰색 접착제로 붙어있는 접합 렌즈를 분리하면 다시 붙일 접착제가 필요했지만, 정확히 어떤 접착제가 사용되었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렌즈 틀과 ..
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