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지(10)
-
AVR ISP MKii로 ATtiny85 개발보드에 프로그램 올리기
쉽게 구매할 수 있는 ATtiny85 개발보드는 USB-A Plug 형과 아래 사진처럼 USB-Micro Jack 형이 있다.USB 단자의 행태만 다를 뿐 모든 것이 같다.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Bootloader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다.그래서 Arduino IDE 2(File - Preferences - Additional boards manager URLs)에 아래 주소를 추가하고 Board Manager에서 Digistump AVR Boards를 설치하면 소스코드를 컴파일하고 개발보드에 업로드할 수 있다. https://raw.githubusercontent.com/digistump/arduino-boards-index/master/package_digistump_index.json Digi..
2025.02.06 -
태양 추적기에 사용할 '광센서(CdS)'를 시험해 봤다
태양광전치판의 발전량을 높이려면 낮 동안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봐야 한다.태양을 바라보려면 태양이 있는 방향을 알아야 한다. 태양광전지판을 움직이는 장치의 회전축이 1개이면 가림막으로 분리된 '광센서(CdS Cell)' 2개면 된다.관센서 2개 사이에 센서의 지름보다 큰 가림막이 높게 있으면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을 땐 한쪽만 센서가 작동하게 된다.관센터 2개가 똑 같이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보면 감시한 빛의 세기가 같아져서 태양을 찾을 수 있다. 저렴한 CdS Cell 광센서는 같은 곳에서 생산된 것이라도 출력값이 제각각이다.정확하게 태양을 바라보고 있어도 광센서 2개가 감지하는 빛의 세기가 다르다.감지한 값이 다르면 태양을 정확하게 바라볼 수 없다. 저렴한 광센서의 성능을 확인할 장치를 만들었다.A..
2025.01.21 -
FreeCAD 버전 1.0이 23년만에 출시되었다
2018년 12월에 3D 프린터 Ender-3를 구매한 이후로 FreeCAD를 사용하고 있다.AutoDesk의 Fusion를 잠시 사용한 적 있지만, 무료 사용엔 제약이 많아서 FreeCAD를 주로 사용했다.내가 처음 FreeCAD를 사용한 시기는 6년 전이지만, 개발은 23년 전부터였다.23년 만에 정식 1.0 버전이 출시된 거다.버전 1.0 출시 소식을 늦게 접해서 지난주까지 버전 0.21.2를 사용하고 있었다.버전 숫자를 볼 때마다 1.0이 되려면 한참 멀었다고 생각했는데, 지난달(2024년 11월) 19일에 1.0 정식 버전이 출시된 거다.FreeCAD로 설계를 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를 많이 경험했지만,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어 불편함을 오리조리 회피하며 사용했다.버전 1.0에선 많은 불편함이 ..
2024.12.13 -
LED스탠드를 직접 만들어 보자
책상 공간을 덜 차지하는 스탠드등가 필요하다.난 30Cm짜리 LED바(12V용)를 가지고 있다.12V 아답터와 PWM 모듈 그리고 전선은 있다.LED바를 세워줄 스탠드가 없어 인터넷 쇼핑몰을 뒤진다.저렴하고 튼튼하며 충분히 긴 핸드폰 거치대를 구매한다.PWM 모듈에 전선을 연결하고 도선이 노출되지 않게 두꺼운 종이로 감싼다.튼튼한 케이스는 다음에 만들기로 한다.LED바에도 전선을 연결하고 휴대폰 거치대에 고정한다.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LED스탠드를 이렇게 간단히 만들다니, 이번 만들기도 대단히 만족스럽다.
2024.11.21 -
블루투스 스위치 달기
지금 사용 중인 블루투스 앰프(XY-S100H)는 AUX 입력단자에 3.5mm 플러그가 꽂히면 블루투스가 꺼진다.주로 AUX 입력을 사용하지만, 가끔 블루투스도 쓴다.블루투스를 쓰려면 후면에 꽂힌 3.5mm 플러그를 뽑아야 하는데, 매우 귀찮다. 3.5mm 플러그로 블루투스가 켜지거나 꺼지는 원리는 AUX 입력단자를 자세히 보면 알 수 있다.AUX 입력단자는 3극용이지만 기판과 연결되는 발은 4개다.4번 발은 AUX 입력을 확인하는 단자다.3번 발 옆에 있지만, 플러그와 닿는 부분은 1번 발 옆이다.4번 발이 플러그와 연결되는 것을 막고 3.5mm 플러그를 꽂으면 AUX 입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블루투스가 작동한다.이렇게 작동하는 이유는 3.5mm 플러그가 꽂혔을 때 Ground극에 의해 4번과 1번..
2024.11.20 -
2색으로 반려견 이름표 출력
3번째 3D 프린터를 샀다.이번 건 비싸고 성능이 좋은 Bambu P1S다.Creality의 보급형 Ender-3 시리즈만 2대 사용하다가 고속으로 여러 색을 출력할 수 있는 3D 프린터를 샀다. 받은 날 2색으로 우리 집 '발'의 목에 달아줄 이름표를 출력했다.이름표를 FreeCAD로 직접 설계했다.첫 출력물에 문제가 있어 재출력까지 했지만, 크기가 커서 '발'에게 달아주지는 못 할 것 같다. 사진의 왼쪽 이름표가 처음 출력한 거고 오른쪽이 재출력한 거다.기본 설정을 그대로 사용한 첫 출력은 첫 레이어의 선폭이 0.5mm로 되어 있어 선폭이 가는 글자가 제대로 출력되지 못했다.선폭을 0.4mm로 설정하고 다시 출력하니 괜찮게 나왔다.0.2mm 노즐이 있으면 더욱 세밀하고 예쁜게 출력할 수 있지만, 지금..
2024.11.15 -
태양 추적기 형태 구상 - 첫번째
태양광 전지의 발전량을 최대로 높이려면 전지판이 태양을 따라 움직여야 한다.태양의 위치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영향을 받는다.지구의 자전은 태양을 동에서 서로 1분에 0.25° 이동시킨다.지구의 자전축은 공전축에 23.5° 기울어 있다.지구의 공전으로 태양 남중 고도는 한 해 동안 -23.5° ~ +23.5° 가 변한다.내가 사는 곳(위도 35.55°)은 30.95° ~ 77.95°로 변한다.대충 하루에 0.129°로 변한다. 전지판에 대한 태양빛의 입사각이 8°가 넘으면 발전량이 1% 이상 낮아진다.(참고 자료)손실을 1% 이하로 줄이려면 지구 자전에 의한 태양 이동은 62분 내에 따라가야 한다.하지만 지구 공전에 의한 이동은 평균 124일 내에 따라가면 된다. 어떤 기계든 구조가 단순할수록 고장이 덜..
2024.11.13 -
최대한 단순한 구조의 태양 추척기를 만들려면?
휴대폰 같은 작은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태양 전지판이 2장 있다.한 장의 크기는 54Cm x 28Cm이고 최대 출력은 40W이다.USB 단자가 2개 있는 캠핑용으로 나온 제품이다.이걸 집에 설치해서 쓸 건데, 발전 효율을 최대로 끌어올리고 싶다. 태양 전지는 빛을 많이 받으면 발전이 많이 되는 단순한 발전기다.전지판과 태양 광선이 수직이 되도록(입사각 0˚)하면 태양빛을 최대한 많이 받아서 발전이 많이 되다.태양은 움직인다. 정확히는 지구가 자전을 하기 때문에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태양이 뜨고 질 때까지 입사각이 0˚이 되려면 전지판을 움직여서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해야 한다. 지구의 자전 말고 신경 써야 할 게 또 있다.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다.지구는 태양계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공..
2024.11.12 -
EB-G6550WU 셔터 만들기 준비 - 첫번째
소극장에서 사용 중인 EB-G6550WU 빔프로젝터의 빛을 막는 셔터를 만든 지 1년이 되었다.그땐 급해서 빔프로젝터에 장착되는 구조가 아닌 전동리프트 천장거치대에 붙는 형태였다.무대에 오르는 극에 따라서 빔의 방향을 바꿀 일이 있는데, 셔터가 거치대에 붙어 있어 방향을 바꾸면 셔터가 빛을 제대로 막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이 문제를 제작자인 나와 사용자인 극단이 모두 알고 있었지만, 개선을 요구하지 않아서 다시 만들 생각을 안 하고 있었다.그런데 며칠 전에 극단에서 12월 공연이 끝난 이후에 셔터를 다시 만들어 줄 수 있는지 물었다.가능하다면 제작 비용과 기간을 알려달라고 했다.언급한 문제 이외에 다른 요구 사항이 있는지 물으니 대충 다음을 이야기했다.빔프로젝터에 장착원격 리모컨과 셔터를 유선으로 연결..
2024.11.10 -
생분해성 3D 프린터 필라멘트
흙에 묻어 두면 1년 내에 완전 분해되는 3D 프린터 필라멘트는 없을까? 3D 프린터를 사용하면서 필라멘트는 PLA만 사용했다.3D 프린터 생활 초기에는 PLA가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라고 해서 쉽게 흙으로 돌아갈 줄 알았다.알아보니 완전 분해가 되는 조건이 까다롭다.60℃를 유지하는 퇴비화 시설에서 6개월 이상 처리해야 완전 분해가 된다.(참고 기사)텃밭 한 구석에 퇴비를 쌓아둔 곳은 있지만 60℃를 유지해 주진 않는다.그래서 나에겐 PLA를 완전히 분해시켜 흙으로 돌려보낼 방법이 없다. 더 열심히 찾아보니 PHA, PCL이 나왔다.이 소재는 흙뿐 아니라 바다에서도 분해가 잘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참고 논문)텃밭 퇴비에서 완전 분해가 가능해 보인다. PHA는 미생물로 합성하지만, PCL은 화..
2024.11.08